본문 바로가기

삽질

Jenkins 플러그인 수동 설치

0. 개요

이 글은 Jenkins 플러그인을 수동으로 다운받는 방법을 안내한다.

 

폐쇄망 서버에서는 Jenkins의 플러그인을 다운받을 수 없다.

때문에, 폐쇄망 서버에서 helm으로 Jenkins 설치시

installPlugins: false로 설정해야 Jenkins를 가동시킬 수 있다.

controller:
  ...
  installPlugins: false
#    - kubernetes:4340.v345364d31a_2a_
#    - workflow-aggregator:608.v67378e9d3db_1
#    - git:5.7.0
#    - configuration-as-code:1967.va_968e15fd05b_

 

위와 같이 설정하면, 플러그인이 없는 상태에서 Jenkins가 가동된다.

그렇다면, 폐쇄망에서 어떻게 Jenkins에 플러그인을 넣어줄 수 있을까?

 

인터넷이 가능한 컴퓨터에서 플러그인을 다운받고, /var/jenkins_home/plugins 위치에 넣어주면 된다.

 

플러그인 수동 설치를 위해서는 크게 네 가지 파일이 필요하다.

  1. Jenkins Plugin Manager CLI
  2. Jenkins war 파일
  3. plugins.txt
  4. 플러그인 파일을 저장할 폴더

1. Jenkins Plugin Manager CLI 다운로드

가장 좋은 플러그인 수동 다운로드 방법은 Jenkins Plugin Manager CLI를 사용하는 것이다.

 

Jenkins Plugin Manager CLI는 https://github.com/jenkinsci/plugin-installation-manager-tool/releases 에서 다운받을 수 있다.

 

필자는 가장 최신 버전인 2.13.2 버전을 다운로드 받았다.

 

2. Jenkins war 파일 다운로드

필자는 Jenkins 2.504.1 버전을 사용하기 때문에 아래 명령어를 통해 다운받았다.

wget https://get.jenkins.io/war-stable/2.504.1/jenkins.war

 

3. plugins.txt 파일 생성

다운받을 플러그인 이름과 버전을 명시한다.

필자가 다운로드 생성한 plugins.txt는 아래와 같다.

kubernetes:4340.v345364d31a_2a_
workflow-aggregator:608.v67378e9d3db_1
git:5.7.0
configuration-as-code:1967.va_968e15fd05b_

 

4. 플러그인 파일을 저장할 폴더

mkdir 명령어를 통해 폴더를 생성한다.

mkdir plugins-files

 

5. 플러그인 다운로드

필요한 리스트의 모습은 아래와 같다.

 

해당 위치에서 아래 명령어를 사용하면 plugins-files에 플러그인이 저장된다.

java -jar jenkins-plugin-manager-2.13.2.jar --war jenkins.war --plugin-download-directory ./plugins-files/ --plugin-file plugins.txt

'삽질' 카테고리의 다른 글

kubeadm init 후 kubelet이 죽는 현상  (0) 2025.06.17
Service Mesh  (0) 2024.09.15
도커 없이 컨테이너 만들기 - 9  (0) 2024.08.23
도커 없이 컨테이너 만들기 - 8  (0) 2024.08.23
도커 없이 컨테이너 만들기 - 7  (0) 2024.08.23